야곰의 스위프트 기본 문법 강좌
약 5시간 정도의 시간으로 swift의 기본적인 문법 내용을 개괄 할수 있습니다.
여담
프로그래밍을 완전 처음 접하는 분이 듣기에는 내용은 쉽지만 각각의 내용들을 연결하는데 조금 힘든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다른 언어가 아니라, Swift를 조금 배우셧던 분이 들으시면 알고 있는 내용들을 빠르게 한번 정리 할수 있습니다. 정리는 저에게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서 생략된 부분이 많습니다..!
목차
- property
- inheritance
- init, deinit
- optional chaining & nil-coalescing operaton
- type casting
- protocol
- extension
- error handling
- higher-order function
- map
- filter
- reduce
1. 프로퍼티 종류
- 저장 프로퍼티(stored property)
- 연산 프로퍼티(computed property)
- 인스턴스 프로퍼티(instance property)
-
타입 프로퍼티(type property)
- 프로퍼티는 구조체, 클래스, 열거형 내부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열거형 내부에는 연산 프로퍼티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연산 프로퍼티는 var 로만 선언할 수있습니다.
1-1. computed property(연산 프로 퍼티)
-
연산 프로퍼티의 동작은 변수 연산프로퍼티 변수를, 저장 프로퍼티에 연결 시켜 놓고, 저장 프로퍼티에 값이 들어가면, 연산 프로퍼티의 get 부분에서 값 들어가는 부분이 동작하고 저장 프로퍼티에 값을 넣으면, 연산프로퍼티의 get부분이 불려온다.
-
연산 프로퍼티에 값을 넣으면, set 부분이 불려오면서, 연결되어 있는 저장 프로퍼티의 값이 불려온다.
-
set의 값에 매개변수 이름을 사용하지 않으면
newValue
라고 암시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1.
// 연산 프로퍼티 정의
var x: Int {
get {
return tempX
}
set(newValue) {
tempX = newValue * 2
}
}
x = 10 // 컴파일 에러!
-> 이유는 현재 연산 프로퍼티에 저장소가 없기때문에 값을 저장할수가 없음
2.
// 연산 프로퍼티의 연산값이 저장될 변수를 정의.
var tempX : Int = 1
var x: Int {
get {
return tempX * 10
}
set(newValue) {
tempX = newValue * 2
}
}
tempX = 10
print(tempX, x) // 10, 100
x = 10
print(tempX, x) // 20, 200
-> tempX 값이 20이 되고(set불리고) -> (get 불림) -> x값이 200
**읽기전용 프로퍼티**
get 만있으면 읽기전용 프로퍼티가 되는데, set만 있는건 안됨, get, set 둘다 있어야 한다.
1-2. property observer(프로퍼티 옵져빙)
프로퍼티의 값이 변환 되었을때, 변환값과, 변환이후 값을 출력해줄수 있다.
var intObserver: Int = 1000 {
willSet {
print("\(newValue)")
}didSet {
print("\(oldValue)")
}
}
intObserver = 10 // 10, 1000 - > willset 은 변환값, didSet은 변환 이전값, 호출은 옵져빙의 호출은 둘다 된다.
willSet은 바뀌기 직전에 호출이 되고,
didSet은 변경이 될때 호출이 된다..!
암시적으로 wiilSet() 파라미터를 작성하지 않으면 willSet에는 newValue, didSet에는 oldValue 가 암시적으로 사용이 된다.
2. inheritance(상속)
- 스위프트의 상속은 클래스, 프로포토콜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열거형, 구조체는 상속이 불가능 하다
-
다중상속을 지원하지 않음
- 문법
class 이름: 상속받을 클래스 이름 {
구현부
}
class SubClass: superClass {
fianl sayHello() {
print("hi")
}
-> fianl 을 사용하면 자식 클레스에서 재정의를 방지 할수 있습니다.
// 타입 매서드
// 재정의 불가(overrid 불가)
static func typeMethod() {
print("type method - static")
}
// 재정의 가능
class func classMethod() {
print("classMethod")
}
}
재정의가 가능한 타입 매서드는 ‘class’
재 정의가 불가능한 타입 매서드는 ‘static’, final’, ‘final class’
저장 프로퍼티는 상속을 받아서 온 것이라서, 오버라이드를 할수 없습니다.
3. 인스턴스의 생성과 소멸 init, deinit
- 인스턴스 생성시 조건 넣을수 있습니다., 조건 값을 벗어나게 되거나, 값이 없는경우가 존재할수 있기 때문에, 옵셔널로 선언이 됩니다.
class Age {
var age: Int
init?(age: Int) {
if (0...100).contains(age) == false {
return nil
}
self.age = age
}
}
var test = Age(age: 200)
- 인스턴스 소멸
class test {
var name: String?
// 변수에 옵셔널을 넣어주면, init을할때, 그 부분은 있어도, 없어도 상관이 없을수 있다.
deinit {
print("인스턴스 해제")
}
}
var value: test? = test()
value?.name = "민준"
value = nil
-> nil을 할당할수 없는데, 클레스 타입 자체를 옵셔널로 만들어서, nil 을 할당 가능 하게 만들어주어서 해제 시켜 보았습니다.
4. optional chaining(옵셔널 체이닝)
optional chaining & nil-coalescing operaton(옵셔널 체이닐과 nil 병합 연산자)
- 옵셔널 체이닝 문법
step?step2?step3? ->
step 이 옵셔널이 아니면 step2로 넘어가고, step3 까지 넘어간다. 하지만, step,step2,step3 중에 nil이 있으면, 연쇄작용을 통해서 nil을 검사해서, nil이 있으면 멈추게됨.
- 소스 코드
class Person {
var name: String
var job: String?
var home: Apartment?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
class Apartment {
var buildingNumber: String
var roomNumber: String
var `guard`: Person?
var owner: Person?
init(dong: String, ho: String) {
buildingNumber = dong
roomNumber = ho
}
}
let yagom: Person? = Person(name: "yagom")
let apart: Apartment? = Apartment(dong: "101", ho: "202")
let superman: Person? = Person(name: "superman")
yagom?.home?.guard?.job // nil
yagom?.home = apart
yagom?.home // Optional(Apartment)
yagom?.home?.guard // nil
yagom?.home?.guard = superman
yagom?.home?.guard // Optional(Person)
yagom?.home?.guard?.name // superman
yagom?.home?.guard?.job // nil
yagom?.home?.guard?.job = "경비원"
-> 이런식으로 옵셔널 체이닝을 사용할수 있다.
-> 사실 개인적으로 옵셔널 채이닝 보다, if let, guard let 이 더 편한것 같다.
4-1. nil 병합 연산자
- 값이 옵셔널일때, 다른 값을 넣으라고 디폴트 값을 지정 해줄수 있다.
var nilValue: Int?
var changeValue: Int = 10
changeValue = nilValue? ?? 10
print(changeValue) // 10
5. type casting(타입 캐스팅)
- is, as 를 사용해서 타입을 캐스팅 한다.
var intValue: Int = 10
var doubbleValue: Double = Double(intValue)
-> 이건 엄밀하게 타입캐스팅이 아니다. Double 타입의 인스턴스를 하나 더 생성 한거다. 래퍼런스 문서를 들어가보면, doubble 가 init이 굉장히 많다는것을 알수 있음.
- is
taget인스턴스 is 확인할 instance -> Bool 값을 반환한다.
대상인스턴스가, 확인할 instance가 맞는지 확인한다.
- as
- as, as?, as! 사용할떄 다르다
- as, as?, as! 사용할떄 다르다
-
as
- as?
- 조건부 반환 캐스팅: 반환값을 옵셔널로 반환이 될수 있다.
- 조건부 반환 캐스팅: 반환값을 옵셔널로 반환이 될수 있다.
- as!
- 강제 다운 캐스팅: nil 일 경우 런타임 오류가 발생 한다.
- 강제 다운 캐스팅: nil 일 경우 런타임 오류가 발생 한다.
6. protocol(프로토콜)
- 정의: 특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메서드, 프로퍼티, 이니셜라이저 등의 요구사항을 정의 합니다.
너는 이 기능이 꼭 필요하니까 정의 해놔! 라고 프로토콜은 요구 합니다..!
- 문법
protocol 프로토콜 이름 {
구현부
}
protocol Talkable{
//프로퍼티 요구, 읽기, 쓰기, 혹은 읽기만 가능 한지 확인 해주어야한다
var topic: String { get set }
var language: String { get }
// 메서드 요구
func talk()
//이니셜 라이저 요구
init(topic: String, language: String)
- 프로토콜 체텍
-> 구조체가 Talkable 프로토콜을 체텍함.
struct Person: Talkable {
var topic: String
let language: String
func talk()
class 에서는 상속받을 class 명을 먼저 사용하고 그 이후에 프로토콜을 체택해야 합니다. 순서를 지켜야합니다!
프로토콜의 장점은 컴파일 입장에서 조금더 명확하게 사용자가 무엇을 하는지 알수 있다.
7. extension(익스텐션)
기능에 기능을 덧 붙여서 연장시킨다!
익스텐션은 구조체, 클래스, 열거형, 프로토콜 타입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기능을 추가하려는 타입의 구현된 소스 코드를 알지 못하거나 볼 수 없다 해도, 타입만 알고 있다면 그 타입의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습니다.
- 문법
extension 확장할 타입 이름
ex) extension String 이렇게 사용할수 있음
extension String: 프로토콜1, 프로토콜2, .... 이런식으로 요구 할수 있다.
- 예제
extension Int {
var minjunNumber: Int {
return self * 100
}
var fastcumpusNumber: Int {
return self * 0
}
func minjunFunc(n: Int) -> Int {
return self * n
}
}
print(10.minjunNumber) // 1000
print(10.fastcumpusNumber) // 0
print(10.minjunFunc(n: 10)) // 100
-> extension 은 Python Decoration 같이 사용되는것 같다.
강력하게 사용할수 있는것 같다. 내가 원하는 기능만 떼어 와서 원하는 클레스에 붙여 놓아서 사용해도 좋을것 같다…
8. error handling(에러 헨들링)
Enum 에 Error 프로토콜을 체텍해서, Error 를 발생시켜서, 프로그램을 중지 시킬수 있다.
에러를 발생시킨는 명령어는, 에러를 던져준다고 해서 throw
enum.case 를 작성한다
- 문법
enum errorHandlr: Error {
case notMoney
case Ok
}
var value: Int = 10
if value < 10 {
throw errorHandlr.notMoney
}else {
throw errorHandlr.Ok
}
- > value 값이 무엇이든간에 무조건 오류가 발생함...
do, try, catch 도 있지만, 지금은 여기까지만 사용하자.
9. higher-order function(고차 함수)
- 스위프트의 문법은 아니지만, 유용한 녀석들이다.
- map, filter, reduce
- map
컨테이너 내부의 기존 데이터를 변형 하여 새로운 컨테이너 생성 후, Array 안에 있는 값들을 계산함. map은 일종의 함수 역활을 하고, 대상 Array 를 설정해놓은 함수에 집에 넣는다고 생각하자
var number: [Int] = [1,2,3,4,5,6]
var test1 = number.map { (value: Int) -> Int
in
return value * 10
}
print(test1) //10 20 30 40 50 60
var test2 = number.map { $0 * 10
}
print(test2) //10 20 30 40 50 60
-> 클로져의 생략을 사용했습니다.
- filter
filter 는 return 타입이 bool 이다. 설정해놓은 조건이 true일때, 내가 설정해놓은 값을 filter의 container에 집에넣고 그 값을 핸들링 한다
var test3 = number.filter { (value: Int) -> Bool in
// 짝수인 조건을 필터함..!
return value % 2 == 0
}
print(test3)
var test4 = number.filter { $0 % 2 == 0
}
print(test4)
- reduce
Array 에 담긴 값 모두를 각각 더한다 피보나치와 같은 원리입니다.
var test5 = number.reduce(0) { (first:Int, second: Int) -> Int in
return first + second
}
print(test5)
var test6 = number.reduce(0) { $0 + $1 }
print(test6)